본문 바로가기

C/개발환경8

Section에 대해서 작성한 프로그램 코드와 변수는 메모리상에 배치되지만, 그 특성 별로 배치되는 영역이 조금씩 달라진다. 그래서 특성에 따라 코드나 변수를 모아놓은 영역을 섹션이라고 부른다. 어플리케이션이나 웹쪽 개발자들에겐 더욱 생소한 단어일 수 있다.  왜냐하면, 내장제어 분야와는 다르게 OS가 알아서 해주기 때문에 개발자가 일일이 신경 안써도 된다.  하지만 내장제어 분야는 하나부터 열까지 지가 알아서 배치 해야 된다. 특히 특수한 목적에 따라서 배치를 바꿔야 할 경우엔 지맘대로 섹션을 만들어서 배치해 주어도 된다. 그럼 일반적으로 쓰이는 섹션에 어떤 것들이 있는지 살펴보자.섹션의 종류P   :  프로그램 섹션C   :  정수 데이터 섹션(const로 설정된 변수)D   :  초기화된  데이터 섹션B   :  초기화 .. 2024. 7. 6.
ASCII 코드 ASCII( American Standard Code for Information Interchange) CodeBinaryOctalDecimalHexcharBinaryOctalDecimalHexchar0000 000000000NUL0100 00001006440@0000 000100111SOH0100 00011016541A0000 001000222STX0100 00101026642B0000 001100333ETX0100 00111036743C0000 010000444EOT0100 01001046844D0000 010100555ENQ0100 01011056945E0000 011000666ACK0100 01101067046F0000 011100777BEL0100 01111077147G0000 10000108.. 2024. 7. 2.
통합 개발 환경(IDE) 프로그램을 만드는 과정은 여러가지 귀찮은 작업들로 구성되어 있다. 코딩, 컴파일, 빌드, 디버깅 실행 등등… 이런 귀찮은 작업들을 자동 또는 쉽게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 주는 고마운 프로그램들이 있는데 이들을 IDE(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 라고 부른다. 이들 IDE를 활용하면, 손쉽게 자신의 PC상에서 프로그램을 만들고 그 프로그램이 잘 동작하는지 실행시켜 볼 수 있게 된다. PC상에서 실행되는 어플리케이션(OS에 상관없이)뿐만 아니라, 내장제어 프로그램도 그러하다.세상에는 많은 수의 IDE들이 있지만, 인기 있고 별다른 비용 없이 사용하기 쉬운 몇 가지를 그 사용법과 함께 소개해 보기로 한다. 우선 PC용 어플리케이션 개발용 IDE 1.  Code::Bloc.. 2024. 6. 17.
포인터란? C언어를 어렵게 만드는 범인중에 포인터라는 놈이 있다. 간단하게 말하면 변수의 어드레스라고 할 수 있는데, 어드레스와 포인터는 같은 의미라고 착각하기 쉽지만, 엄연히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어드레스(address)는 메모리상의 특정 부분을 가리키는 용어로 바이트 단위로 부여된 주소 이다. 반면에 포인터는 의미를 부여한 단위(변수나 블록)를 대표하는 메모리의 선두 어드레스를 가리키는 용어이다. 어드레스에서 1차이는 한 바이트 차이가 되지만, 포인터에서 1차이는 한 바이트도 될 수 있고, 두 바이트도 될 수 있고, 100 바이트가 될 수도 있다(의미를 부여한 단위의 사이즈에 따라서 달라진다). 포인터는 프로그래머가 메모리를 사용하기 위해서 어떤 단위를 정의했을 때 (예를 들어 100이라는 수를 보.. 2024. 5. 22.